그렉 베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렉 베어는 하드 SF 작가로 분류되는 미국의 소설가이다. 그는 소설과 단편 소설을 통해 현대 과학과 문화에 대한 질문을 탐구하며, 나노 기술과 같은 주제를 다룬다. 베어는 '블러드 뮤직'으로 휴고상과 네뷸러상을 수상했으며, '다윈의 라디오'로 엔데버상을 수상하는 등 여러 문학상을 받았다. 그는 아이작 아시모프의 '파운데이션 시리즈'의 프리퀄을 공동 집필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애틀 출신 작가 - 옥타비아 버틀러
미국의 과학 소설 작가 옥타비아 버틀러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성으로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사회 문제에 대한 성찰을 담은 아프로퓨처리즘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킨드레드》, 《와일드 시드》, 《씨 뿌리는 사람의 우화》 등의 작품으로 휴고상, 네뷸러상, 매카서 펠로십 등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 - 시애틀 출신 작가 - 브라이언 허버트
브라이언 허버트는 미국의 작가로, 아버지 프랭크 허버트의 《듄》 시리즈 프리퀄과 시퀄을 케빈 J. 앤더슨과 공동 집필하여 《듄》 세계관을 확장하고 원작 시리즈를 잇는 작품을 출판했지만, 팬덤 내에서 비판과 긍정적 평가를 동시에 받고 있다. - 미국의 공포 작가 - 에드거 앨런 포
에드거 앨런 포는 미국의 작가, 시인, 편집자, 문학 평론가로서 고딕 소설과 공포 소설, 최초의 추리 소설로 여겨지는 작품들을 남겼으며, 문학 이론과 비평 분야에서도 활동하며 다양한 장르 발전에 기여했다. - 미국의 공포 작가 - 윌리엄 피터 블래티
미국의 작가, 영화 감독, 각본가인 윌리엄 피터 블래티는 소설 《엑소시스트》와 그 영화 각본으로 유명하며, 아카데미 각색상 수상과 더불어 《제9의 구성》을 감독하고 각본을 쓰기도 한 독실한 로마 가톨릭 신자이다. - 샌디에고 주립 대학교 동문 - 토니 그윈
토니 그윈은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에서 20시즌 동안 활약하며 8번의 내셔널리그 타격왕과 15번의 올스타에 선정된 메이저리그 역사상 위대한 타자 중 한 명으로, 2007년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고 그의 등번호는 영구결번되었으며 은퇴 후 야구 감독과 해설가로 활동하다 침샘암으로 사망했다. - 샌디에고 주립 대학교 동문 - 라켈 웰치
라켈 웰치는 1966년 영화에서의 상징적인 모습으로 20세기 최고의 글래머 섹스 심볼로 부상하여 국제적인 스타가 되었고, 골든 글로브상 수상 및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에 입성하는 등 배우로서 뛰어난 업적을 남겼으며, 사업가로서도 성공을 거두었다.
그렉 베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그레고리 데일 베어 |
출생 | 1951년 8월 20일 |
출생지 |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
사망 | 2022년 11월 19일 |
직업 | 소설가 |
학력 | 샌디에이고 주립 대학교 (문학 학사) |
장르 | 과학 소설, 추측 소설 |
영향 | 폴 앤더슨 |
대표작 | 블러드 뮤직 |
웹사이트 | 그레그 베어 공식 웹사이트 |
2. 경력
베어는 작품에 과학적 세부 사항을 많이 담아, 종종 하드 SF 작가로 분류된다.[7] 경력 초기에는 삽화가 및 표지 제작 등 예술가로도 활동했다. 1967년 첫 소설 "Destroyers"를 ''Famous Science Fiction''에 판매했다.[8]
그는 소설에서 현대 과학과 문화의 주요 질문에 답하고 해결책을 제시하며, 관찰의 함수로서의 현실을 주요 주제 중 하나로 다룬다. ''블러드 뮤직''은 나노기술을 다루며, 이후 ''여왕의 천사들''부터 ''슬랜트''까지 근미래의 나노기술 사회를 상세히 묘사한다. ''헤드''와 ''무빙 마스''에서는 "양자 논리 컴퓨터"와 인공 지능에서 자아 인식의 역사적 발전을 보여준다.
그레고리 벤포드, 데이비드 브린과 함께 아이작 아시모프의 ''파운데이션'' 3부작의 프리퀄 소설을 집필했으며, 베어는 중간 책인 ''파운데이션과 카오스''를 썼다.
SF 외에도 ''대지와 권력의 노래''(판타지), ''사이클론''(호러) 등 다른 장르에서도 글을 썼고, SF와 판타지의 경계를 넘나드는 ''데드 라인''을 "하이테크 유령 이야기"라고 묘사했다.[9] 네뷸라 상 5회, 휴고 상 2회를 포함하여 많은 찬사를 받았다.[10]
레이 브래드버리를 자신의 삶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작가로 꼽았으며, 1967년에 그를 만나 평생 서신을 주고받았다.[11] 과학 소설 박물관 자문 위원회에서 활동했고,[12] 샌디에이고 코믹콘의 5명의 공동 창립자 중 한 명이었다.[13]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그렉 베어는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에서 태어났다.[6] 샌디에이고 주립 대학교(1968–1973)에서 문학사 학위를 받았다. 대학교에서 그는 엘리자베스 체이터의 SF 소설 창작 강의 조교였으며, 이후 그녀와 친구가 되었다.2. 2. 작가로서의 활동
베어는 작품에 과학적 세부 사항을 많이 담아, 종종 하드 SF 작가로 분류된다.[7] 그는 경력 초기에 예술가로도 활동하며, 초기 버전의 참고 서적인 ''스타 트렉 컨코던스''의 삽화와 잡지 ''갤럭시'' 및 ''F&SF''의 표지를 제작하기도 했다.[8] 1967년에 그는 첫 번째 단편 소설 "Destroyers"를 ''Famous Science Fiction''에 판매했다.[8]베어는 소설에서 종종 현대 과학과 문화의 주요 질문에 답하고 해결책을 제시한다. 예를 들어, ''신의 대장간''은 페르미 역설에 대한 설명을 제시하는데, 은하계는 잠재적으로 포식적인 지능으로 가득 차 있으며, 살아남는 젊은 문명은 그들의 관심을 끌지 않도록 조용히 있는 문명이라는 것이다. ''여왕의 천사들''에서 베어는 사회의 범죄, 죄책감, 처벌에 대해 고찰하며, 의식과 자각에 대한 탐구, 인간과 소통하는 고도로 발달된 컴퓨터의 출현하는 자아 인식을 포함하여 이러한 질문을 구성한다. ''다윈의 라디오''와 ''다윈의 아이들''에서는 인간 게놈의 돌연변이로 인해 기본적으로 새로운 일련의 인간이 만들어지는 인구 과잉 문제를 다룬다. 새롭고 피할 수 없는 것에 대한 문화적 수용의 문제 또한 시사한다.
베어가 가장 좋아하는 주제 중 하나는 관찰의 함수로서의 현실이다. ''블러드 뮤직''에서 관찰자 수(수조 개의 지능적인 단세포 유기체)가 점점 더 증가함에 따라 현실은 불안정해진다. ''별의 모루''(''신의 대장간''의 후속작)와 ''무빙 마스''는 "비트 수준"에서 변경될 수 있는 입자 간의 정보 교환을 기반으로 하는 물리학을 가정한다. ''무빙 마스''에서 그 지식은 화성을 태양계에서 제거하고 멀리 떨어진 별 주위의 궤도로 옮기는 데 사용된다.
''블러드 뮤직''은 단편 소설(1983)로 처음 출판된 후 소설(1985)로 확장되었으며 나노기술을 다룬다. 그 후 작품에서, ''여왕의 천사들''부터 시작하여 그 후속작인 ''슬랜트''에 이르기까지, 베어는 근미래의 나노기술 사회에 대한 상세한 묘사를 제공한다. 이 역사적 시퀀스는, 소위 "양자 논리 컴퓨터"에 대한 첫 번째 묘사를 포함할 수 있는 ''헤드''와 ''무빙 마스''로 이어진다. 이 시퀀스는 또한 인공 지능에서 자아 인식의 역사적 발전을 보여준다.
베어는 그레고리 벤포드, 데이비드 브린과 함께 아이작 아시모프의 ''파운데이션'' 3부작의 프리퀄 소설을 집필했다. 베어는 중간 책인 ''파운데이션과 카오스''를 썼다.
베어의 작품 대부분은 SF이지만, ''대지와 권력의 노래''(판타지)와 ''사이클론''(호러) 등 다른 소설 장르에서도 글을 썼다. 베어는 SF와 판타지의 경계를 넘나드는 자신의 작품 ''데드 라인''을 "하이테크 유령 이야기"라고 묘사했다.[9] 그는 네뷸라 상 5회, 휴고 상 2회를 포함하여 많은 찬사를 받았다.[10]
베어는 레이 브래드버리를 자신의 삶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작가로 꼽았다. 그는 1967년에 브래드버리를 만났고 평생 서신을 주고받았다. 십 대 시절, 베어는 남부 캘리포니아에서 브래드버리의 강연과 행사에 참석했다.[11]
그는 또한 과학 소설 박물관 자문 위원회에서 활동했으며,[12] 샌디에이고 코믹콘의 5명의 공동 창립자 중 한 명이었다.[13]
2. 3. 개인적인 삶
그렉 베어는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에서 태어났다.[6] 샌디에이고 주립 대학교 (1968–1973)에서 문학사 학위를 받았다. 1975년 크리스티나 M. 닐슨과 결혼했으나 1981년에 이혼했다. 1983년, 폴 앤더슨과 캐런 앤더슨의 딸인 아스트리드 앤더슨과 결혼하여 클로이와 알렉산드라, 두 자녀를 두었으며 워싱턴 주 시애틀 근처에 거주했다.[14]2022년 11월 19일, 71세의 나이로 사망했는데, 2014년 수술 이후 뇌의 전방 동맥의 가성 내강에 숨어 있던 혈전으로 인한 여러 번의 뇌졸중이 원인이었다.[15] 이틀 동안 생명 유지 장치를 사용했고 회복이 불가능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사전 의료 지시서에 따라 생명 유지 장치가 제거되었다.[16][17]
3. 주요 작품 및 수상 경력
그렉 베어는 하드 SF 작가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그의 작품은 과학적 디테일이 풍부한 것으로 유명하다.[7] 초기에는 스타 트렉 컨코던스 삽화 및 ''갤럭시'', ''F&SF'' 잡지 표지 제작 등 예술가로도 활동했다.[8] 1967년에는 첫 단편 소설 "Destroyers"를 ''Famous Science Fiction''에 발표했다.[8]
그는 네뷸러 상 5회, 휴고 상 2회를 포함하여 많은 상을 받았다.[10] 레이 브래드버리를 자신의 삶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작가로 꼽았으며,[11] 샌디에이고 코믹콘의 공동 창립자 중 한 명이기도 하다.[13]
상 이름 | 수상 연도 | 작품명 | 비고 |
---|---|---|---|
네뷸러상 중편 부문 | 1982 | 아수라전 (Hardfought) | |
휴고상 최우수 노벨레 부문 네뷸러상 최우수 노벨레 부문 | 1983 | 블러드 뮤직 (Blood Music) | 휴고상, 네뷸러상 동시 수상[18][19], 장편화됨 |
휴고상 최우수 단편 부문 네뷸러상 최우수 단편 부문 | 1986 | "탄젠트(Tangents) | 휴고상, 네뷸러상 동시 수상[20][21] |
네뷸러상 | 1994 | 화성 이주[45] | |
하야카와상 최우수 외국 단편 | 1996 | Heads | |
네뷸러상 | 2000 | 다윈의 사자[46] | |
엔데버상 | 2000 | 다윈의 라디오 | |
잉크팟상 | 1984 | [22] |
2007년 노벨 문학상 수상자 도리스 레싱은 "저는 그렉 베어의 ''블러드 뮤직''과 같은 고전적인 종류의 공상 과학 소설도 존경합니다. 그는 훌륭한 작가입니다."라고 언급했다.[23]
3. 1. 소설
그렉 베어는 작품에 과학적 세부 사항을 많이 담아 하드 SF 작가로 분류된다.[7] 그는 현대 과학과 문화의 주요 질문에 답하고 해결책을 제시하는 소설을 주로 썼다. 예를 들어, ''신의 대장간''에서는 페르미 역설에 대한 설명을 제시하며, ''여왕의 천사들''에서는 사회의 범죄, 죄책감, 처벌에 대해 고찰한다. ''다윈의 라디오''와 ''다윈의 아이들''에서는 인간 게놈의 돌연변이로 인해 새로운 인간이 만들어지는 인구 과잉 문제를 다룬다.[8]베어가 가장 좋아하는 주제 중 하나는 관찰의 함수로서의 현실이다. ''블러드 뮤직''에서는 관찰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현실이 불안정해지는 현상을 다룬다. ''별의 모루''와 ''무빙 마스''는 입자 간의 정보 교환을 기반으로 하는 물리학을 가정한다.[8]
''블러드 뮤직''은 나노기술을 다룬 초기 소설 중 하나이며, 이후 ''여왕의 천사들''과 ''슬랜트''에서는 근미래 나노기술 사회를 상세하게 묘사한다. ''헤드''와 ''무빙 마스''에서는 양자 컴퓨터와 인공 지능의 자아 인식 발전을 다룬다.[8]
베어는 아이작 아시모프의 ''파운데이션'' 3부작의 프리퀄 소설 중 ''파운데이션과 카오스''를 썼다.[8]
베어의 작품 대부분은 SF이지만, ''대지와 권력의 노래''(판타지)와 ''사이클론''(호러) 등 다른 장르의 소설도 썼다. ''데드 라인''은 SF와 판타지를 융합시킨 작품으로, "하이테크 유령 이야기"로 묘사된다.[9] 그는 네뷸라 상 5개와 휴고 상 2개를 포함하여 많은 상을 받았다.[10]
베어는 레이 브래드버리를 자신의 삶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작가로 꼽았다.[11] 그는 과학 소설 박물관 자문 위원회에서 활동했으며, 샌디에이고 코믹콘의 공동 창립자 중 한 명이었다.[12][13]
3. 1. 1. 시리즈
다음은 그렉 베어의 주요 시리즈 작품들이다.;다윈
- ''다윈의 라디오''(1999) 네뷸러 상 수상, 휴고 상, 로커스 SF 상, 존 W. 캠벨 기념상 후보, 2000[24]
- ''다윈의 아이들''(2003) 로커스 SF 상, 아서 C. 클라크 상, 존 W. 캠벨 기념상 후보, 2004[25]
;신의 대장간
;지구와 힘의 노래
- ''무한 협주곡''(1984) 로커스 판타지 상 후보, 1985[28]
- ''뱀 마법사''(1986)
- ''지구와 힘의 노래''(1994) – ''무한 협주곡''과 ''뱀 마법사''를 합본
;콴티코
- ''콴티코''(2005)
- ''마리포사''(2009)
;양자 논리
내부 연대기 소설:[29]
- ''천사의 여왕''(1990) 휴고 상, 로커스 상, 존 W. 캠벨 기념상 후보, 1991[30]
- ''슬랜트''(1997) 존 W. 캠벨 기념상 후보, 1998[31]
- ''헤즈''(1990)
- ''무빙 마스''(1993) 네뷸러 상 수상; 휴고 상, 로커스 SF 상, 존 W. 캠벨 기념상 후보, 1994[32]
;워 독스
- 워 독스 (2014)
- ''킬링 타이탄''(2015)
- ''테이크 백 더 스카이''(2016)
;길
- ''영원''(1985) 아서 C. 클라크 상 후보, 1987[33]
- ''영원''(1988)
- ''레거시''(1995) 로커스 SF 상 후보, 1996[34]
- ''모든 유령의 길''(1999)
;파운데이션 시리즈
- ''파운데이션과 카오스''(1998) (세컨드 파운데이션 시리즈: 2권)
;맨-킨 전쟁
- ''킨이 되려는 남자''(S.M. 스털링 공저)(1991)
;헤일로
- 선구자 사가(3부작)
- * ''헤일로: 크립텀'' (2011)
- * ''헤일로: 프리모디움'' (2012)
- * ''헤일로: 사이렌티움'' (2013)
;스타 트렉: 오리지널 시리즈
- ''코로나''(1984)
;스타워즈
- ''로그 플래닛''(2000)
;포월드 사가
- ''몽골리아드''(2012–2013)
3. 1. 2. 기타 시리즈 작품
- 파운데이션 시리즈
- * 파운데이션과 카오스 (1998) (세컨드 파운데이션 시리즈 2권)
- 맨-킨 전쟁
- * 킨이 되려는 남자 (S.M. 스털링 공저) (1991)
- 헤일로
- * 선구자 사가 (3부작)
- ** 헤일로: 크립텀 (2011)
- ** 헤일로: 프리모디움 (2012)
- ** 헤일로: 사이렌티움 (2013)
- 스타 트렉: 오리지널 시리즈
- * 코로나 (1984)
- 스타워즈
- * 로그 플래닛 (2000)
- 포월드 사가
- * 몽골리아드 (2012–2013)
3. 1. 3. 시리즈 외 작품
- 헤지라 (1979)
- 사이클론 (1979)
- 비욘드 헤븐스 리버 (1980)
- 스톤의 힘 (1981)
- 다이노소어 서머 (1998) (1999년 엔데버상 수상)
- 바이탈스 (2002) (2003년 존 W. 캠벨 기념상 후보[37])
- 데드 라인스 (2004)
- 시간의 끝에 있는 도시 (2008) (2009년 로커스상 및 캠벨상 후보[40])
- 헐 제로 쓰리 (2010)
- 미완의 땅 (2021)
1967년, 15세에 '페이머스 사이언스 픽션'지에 'Destroyers'로 데뷔했다.
베어는 종종 허구의 해결책을 통해 현대 과학이나 문화의 주요 문제를 해결하는 형태의 작품을 쓴다. 예를 들어 '하늘의 겁화'에서는 페르미의 역설에 대한 하나의 해석을 제시하는데, 즉 은하계는 잠재적인 포식성을 가진 지적 존재로 가득 차 있으며, 젊은 문명은 그 포식자의 주의를 끌지 않도록 조용히 한다는 설이다. '여왕 천사'에서는 사회에서의 범죄와 처벌의 의미를 묻고, 그 핵심으로 의식이란 무엇인가를 추구하며, 부수적으로 인간과의 소통 능력이 고도로 발달하여 자의식조차 획득한 컴퓨터를 그렸다. '다윈의 사자'와 속편인 ''Darwin's Children''에서는 인구 과잉 문제를 다루며, 인간 게놈의 돌연변이로 인해 새로운 종으로 변모함으로써 해결책을 제시했다. 또한 거기에서는, 완전히 새롭고 불가피한 것에 대한 문화적 수용이라는 문제도 다루고 있다.
베어가 선호하는 테마는 관찰자로서의 현실이다. '블러드 뮤직'에서는 관찰자(수조 개의 지적인 세포 크기의 개체)의 수가 점점 늘어남에 따라, 현실이 불확실해져 간다. '천계의 살육'('하늘의 겁화'의 속편)과 '화성 전이'에서는, 입자 간의 정보 교환을 기반으로 한 가공의 물리학이 등장한다. '화성 전이'에서는, 그것을 바탕으로 화성을 태양계와는 전혀 다른 별계로 전이시킨다.
'블러드 뮤직'은 나노기술(정확히는 분자 나노기술과 그것에 의한 DNA의 재 프로그래밍)을 다룬 최초의 SF 소설로 여겨진다(단편은 1983년). '여왕 천사'와 속편인 '사선 도시'에서는 근미래의 나노기술 전성 시대의 사회를 상세하게 묘사하고 있다. 같은 계열의 작품으로는, 양자 컴퓨터를 다룬 '동월'과 '화성 전이'가 있다. 또한, 이것들은 '자아를 가진 인공지능'이라는 오래된 테마(로버트 A. 하인라인의 '달은 무자비한 밤의 여왕' 등)와도 관련이 깊다.
'다윈의 사자'와 그 속편 등의 최근 작품에서는, 바이러스에 관한 분자 생물학이나 신다윈주의의 기지 사실을 전제로, 기묘한 질병에 의해 진화가 촉진된다는 설을 다루고 있다. 사색적인 아이디어도 포함되어 있지만, 과학적 지식의 취급이 엄밀하다며 네이처지에서도 칭찬받았다.
베어의 작품의 대부분은 SF지만, 초기의 '무한 콘체르토'와 '뱀의 마술사'는 명백한 판타지이다. 또한 그보다 더 이전의 ''Psychlone'' (1979년)은 호러 소설이었다. 근작인 ''Dead Lines'' (2004년)는 SF와 판타지를 융합시킨 작품으로, 베어 본인은 이것을 "high-tech ghost story"라고 칭하고 있다.
3. 2. 단편집
- ''불타는 여인에게서 불어오는 바람'' (1983, 1992년 《복수》로 재출간)
- ''초기 수확'' (1988년 2월)
- ''접선'' (1989)
- ''베어의 환상'' (1992)
- ''백마의 아이'' (1993)
- ''탄젠트'' (일본 오리지널, 1993년)
- ''그렉 베어의 소설 전집'' (2002)
- ''W3: 심해의 여성들'' (2003)
- ''수면 측면: 환상 소설 전집'' (2005년 11월)
3. 3. 기타 수상
상 이름 | 수상 연도 | 작품명 | 비고 |
---|---|---|---|
네뷸러상 중편 부문 | 1982 | 아수라전 (Hardfought) | |
휴고상 최우수 노벨레 부문 | 1983 | 블러드 뮤직 (Blood Music) | 네뷸러상 동시 수상[18][19], 장편화됨 |
네뷸러상 최우수 노벨레 부문 | 1983 | 블러드 뮤직 (Blood Music) | 휴고상 동시 수상[18][19] |
휴고상 최우수 단편 부문 | 1986 | "탄젠트(Tangents) | 네뷸러상 동시 수상[20][21] |
네뷸러상 최우수 단편 부문 | 1986 | "탄젠트(Tangents) | 휴고상 동시 수상[20][21] |
네뷸러상 | 1994 | 화성 이주[45] | |
하야카와상 최우수 외국 단편 | 1996 | Heads | |
네뷸러상 | 2000 | 다윈의 사자[46] | |
엔데버상 | 2000 | 다윈의 라디오 | |
잉크팟상 | 1984 | [22] |
2007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도리스 레싱은 인터뷰에서 "나는 SF의 최상급 작품(the classic sort of science fiction)도 높이 평가한다. 예를 들어, 그렉 베어의 『블러드 뮤직』. 그는 훌륭한 작가다."라고 언급했다.[47]
그렉 베어는 수많은 상을 수상했으며, 그중 휴고상을 2회, 네뷸러상을 5회 수상했다.[43]
4. 평가
베어는 종종 허구의 해결책을 통해 현대 과학이나 문화의 주요 문제를 해결하는 형태의 작품을 쓴다. 예를 들어 '하늘의 劫火(겁화)'에서는 페르미의 역설에 대한 하나의 해석, 즉 은하계는 잠재적인 포식성을 가진 지적 존재로 가득 차 있으며, 젊은 문명은 그 포식자의 주의를 끌지 않도록 조용히 한다는 설을 제시한다.[1] '여왕 천사'에서는 사회에서의 범죄와 처벌의 의미를 묻고, 그 핵심으로 의식이란 무엇인가를 추구하며, 부수적으로 인간과의 소통 능력이 고도로 발달하여 자의식조차 획득한 컴퓨터를 그렸다.[1] '다윈의 사자'와 속편 ''Darwin's Children''에서는 인구 과잉 문제를 다루며, 인간 게놈의 돌연변이로 인해 새로운 종으로 변모함으로써 해결책을 제시했다. 또한 거기에서는 완전히 새롭고 불가피한 것에 대한 문화적 수용이라는 문제도 다루고 있다.[1]
베어가 선호하는 테마는 관찰자로서의 현실이다.[1] '블러드 뮤직'에서는 관찰자(수조 개의 지적인 세포 크기의 개체)의 수가 점점 늘어남에 따라, 현실이 불확실해져 간다.[1] '천계의 살육'( '하늘의 劫火'의 속편)과 '화성 전이'에서는, 입자 간의 정보 교환을 기반으로 한 가공의 물리학이 등장한다. '화성 전이'에서는, 그것을 바탕으로 화성을 태양계와는 전혀 다른 별계로 전이시킨다.[1]
'블러드 뮤직'은 나노기술(정확히는 분자 나노기술과 그것에 의한 DNA의 재 프로그래밍)을 다룬 최초의 SF 소설로 여겨진다(단편은 1983년).[1] '여왕 천사'와 속편인 '사선 도시'에서는 근미래의 나노기술 전성 시대의 사회를 상세하게 묘사하고 있다.[1] 같은 계열의 작품으로는, 양자 컴퓨터를 다룬 '동월'과 '화성 전이'가 있다.[1] 또한, 이것들은 '자아를 가진 인공지능'이라는 오래된 테마(로버트 A. 하인라인의 '달은 무자비한 밤의 여왕' 등)와도 관련이 깊다.[1]
'다윈의 사자'와 그 속편 등의 최근 작품에서는, 바이러스에 관한 분자 생물학이나 신다윈주의의 기지 사실을 전제로, 기묘한 질병에 의해 진화가 촉진된다는 설을 다루고 있다.[1] 사색적인 아이디어도 포함되어 있지만, 과학적 지식의 취급이 엄밀하다며 네이처지에서도 칭찬받았다.[1]
베어는 그레고리 벤포드와 데이비드 브린과 함께 아이작 아시모프의 파운데이션 시리즈의 속편이 되는 '신・은하 제국 興亡史(흥망사)'를 썼다. 베어는 삼부작의 두 번째 작품을 썼다.[1]
베어의 작품의 대부분은 SF지만, 초기의 '무한 콘체르토'와 '뱀의 마술사'는 명백한 판타지이다.[1] 또한 그보다 더 이전의 ''Psychlone'' (1979년)은 호러 소설이었다.[1] 근작인 ''Dead Lines'' (2004년)는 SF와 판타지를 융합시킨 작품으로, 베어 본인은 이것을 "high-tech ghost story"라고 칭하고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Sci-fi Novelist Greg Bear Has Passed Away
https://gizmodo.com/[...]
2022-11-20
[2]
웹사이트
Halo Author Greg Bear Passes Away Age 71
https://www.thegamer[...]
2022-11-20
[3]
웹사이트
Greg Bear: News
https://www.gregbear[...]
[4]
뉴스
Greg Bear obituary
https://www.theguard[...]
2023-12-21
[5]
웹사이트
Greg Bear obituary: sci-fi author dies at 71
https://www.legacy.c[...]
2024-11-18
[6]
뉴스
Greg Bear obituary
https://www.theguard[...]
2024-11-18
[7]
웹사이트
SFE: Bear, Greg
https://sf-encyclope[...]
2022-11-26
[8]
간행물
Greg Bear: Continuing the Dialog
Locus (magazine)
2000-02
[9]
웹사이트
interview
http://www.fwomp.com[...]
Fiction Writers of the Monterey Peninsula
2009-07-11
[10]
웹사이트
Top SF/F Authors
http://www.worldswit[...]
2009-07-11
[11]
간행물
Sci-Fi Scribes on Ray Bradbury: "Storyteller, Showman and Alchemist"
https://www.wired.co[...]
2015-10-20
[12]
뉴스
Funds sought for science fiction museum lift-off
https://www.usatoday[...]
2014-09-07
[13]
웹사이트
Greg Bear, prize-winning sci-fi author and Comic-Con co-founder, dies at 71
https://www.sandiego[...]
2022-11-26
[14]
웹사이트
Greg Bear, 1951-2022: Best-selling writer influenced sci-fi world, on and off the page
https://finance.yaho[...]
2022-11-20
[15]
웹사이트
Pixel Scroll 11/19/22 Scroll And Deliver, Your Pixels Or Your Life!
https://file770.com/[...]
2022-11-20
[16]
웹사이트
Update on Greg
https://www.facebook[...]
2022-11-20
[17]
웹사이트
Greg Bear (1951-2022)
https://file770.com/[...]
2022-11-20
[18]
서적
The World Almanac and Book of Facts 1985
Newspaper Enterprise Association, Inc.
[19]
웹사이트
1984 Award Winners & Nominees
http://www.locusmag.[...]
2009-07-11
[20]
웹사이트
1987 Hugo Awards
https://www.thehugoa[...]
2015-07-24
[21]
웹사이트
Greg Bear
https://nebulas.sfwa[...]
[22]
문서
Inkpot Award
https://www.comic-co[...]
[23]
문서
Doris Lessing: Hot Dawns
http://www.dorisless[...]
interview by Harvey Blume in Boston Book Review
[24]
웹사이트
2000 Award Winners & Nominees
http://www.worldswit[...]
2009-07-11
[25]
웹사이트
2004 Award Winners & Nominees
http://www.worldswit[...]
2009-07-11
[26]
웹사이트
1988 Award Winners & Nominees
http://www.worldswit[...]
2009-07-11
[27]
웹사이트
1986 Award Winners & Nominees
http://www.worldswit[...]
2009-07-11
[28]
웹사이트
1985 Award Winners & Nominees
http://www.worldswit[...]
2009-07-11
[29]
웹사이트
Greg Bear: Discussion Board
http://www.gregbear.[...]
2011-07-14
[30]
웹사이트
1991 Award Winners & Nominees
http://www.worldswit[...]
2009-07-11
[31]
웹사이트
1998 Award Winners & Nominees
http://www.worldswit[...]
2009-07-11
[32]
웹사이트
1994 Award Winners & Nominees
http://www.worldswit[...]
2009-07-11
[33]
웹사이트
1987 Award Winners & Nominees
http://www.worldswit[...]
2009-07-11
[34]
웹사이트
1996 Award Winners & Nominees
http://www.worldswit[...]
2009-07-11
[35]
웹사이트
Third novel in the Forerunner Saga by Greg Bear, Halo : Silentium revealed
http://upcoming4.me/[...]
Upcoming4.me
2012-07-18
[36]
웹사이트
The Mongoliad App: Neal Stephenson's Novel of the Future?
http://www.fastcompa[...]
2010-07-04
[37]
웹사이트
2003 Award Winners & Nominees
http://www.worldswit[...]
2009-07-11
[38]
웹사이트
Invalid Site
http://www.orionbook[...]
2008-08-28
[39]
웹사이트
Del Rey Online | City at the End of Time by Greg Bear
http://www.randomhou[...]
2008-08-28
[40]
웹사이트
2009 Award Winners & Nominees
http://www.worldswit[...]
2009-07-11
[41]
간행물
Briefly reviewed by Don Sakers in the April 2016 issue of Analog, pp.105–108.
[42]
웹사이트
作家グレッグ・ベア逝去のお知らせ (2022/11/21)
https://www.hayakawa[...]
早川書房
2022-11-21
[43]
웹사이트
Top SF/F Authors
http://www.worldswit[...]
2009-07-11
[44]
웹사이트
1984 Award Winners & Nominees
http://www.locusmag.[...]
2009-07-11
[45]
웹사이트
1994 Award Winners & Nominees
http://www.worldswit[...]
2009-07-11
[46]
웹사이트
2000 Award Winners & Nominees
http://www.worldswit[...]
2009-07-11
[47]
인터뷰
Doris Lessing: Hot Dawns
http://www.dorisless[...]
Boston Book Review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